종부세 대상 계산 정보 알아가기
- 부동산 뉴스
- 2020. 4. 17. 18:08
종부세 대상 계산 정보 알아가기
안녕하세요. 오늘 금융정보인 부동산 세금에 대한 정보를 준비해보았습니다. 바로 종합부동산세인데요. 올해들어 종합부동산세의 부담이 더욱 커짐에 따라서 많은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계시는데요. 따라서 오늘은 종부세 과세대상, 계산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합부동산세 의미
우선 용어의 의미부터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년 6월 1일 과세기준일로 국내의 소재 일정금액을 초과한 주택 및 토지를 보유한 사람에게 각 유형별로 구분하여 과세를 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부동산 투기를 막고 가격을 안정화 시키기 위해 2005년부터 시행된 제도인데요. 부동산의 가격 안정과 지자체 재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목적도 두고 있는 세금입니다.
종부세 과세대상은?
앞서 언급했던것 처럼 과세기준은 매년 6월 1일로 두고 있으며, 현재 기준으로 국내에 소재하고 있는 재산세 과세대상을 기준으로 주택과 토지를 각 유형별로 구별하여 초과분에 대한 과세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이처럼 종부세는 주택과 토지로 대상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주택의 경우에는 공시가격 합계 6억원 초과, 1가구 1주택은 9억원 초과에 해당하며 토지의 경우는 공시가격 합계액 5억원 초과 별도 합산토지는 공시가 합계가격 80억원이 초과하면 과세대상이 됩니다.
종부세 계산 방법
다음으로는 종합부동산세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1주택자 기준으로 예시를 들어보면 공시가격 9억 초과(다주택자는 합산 6억원 초과)을 대상으로 공제금액은 9억(다주택자는 6억)원으로 이를 뺀 가격에 공정시장가액 90%를 곱하면 됩니다. 그 후 마지막으로 세율을 곱한 값이 최종 납부금액이 됩니다.
(공시가격 - 공제액) x 공정시장가액 90% x 세율
더욱 이해하기 쉽도록 개포주공1단지 공시지가를 예를 두고 계산해보겠습니다. 작년기준 15평을 1주택 소유로 기준을 잡으면 공시가 10억 8천만원에 나와있는데요. 위 공식을 대입해보면, [10억 8천만원 - 9억원(공제)] x 90%(공시가액) x 0.5%(세율)을 산출해보면 총 81만원이 산출됩니다. 즉, 개포주공1단지 15평 1주택을 보유했을 경우 이와같이 종합부동산세가 부과되는 것입니다.
종부세 세율
종합부동산세 납부일정
종합부동산세 납부방법
마지막으로 납부방법과 추가 공제사항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볼텐데요. 우선 납부방법을 살펴보면 국세청 홈텍스 혹은 금융기관을 통해 납부하는 방법이 있으며, 은행방문을 통해서도 납부가 가능합니다.
또한 추가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조건으로는 1세대 1주택 고령자 혜택이 있으며, 장기보유특별공제를 통해서도 추가 공제를 받으실 수 있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가지 중요한 정보는 바로 공정시장가액의 비율입니다. 2018년 80%로 시작하여 매년 5%씩 상승하여 2022년 100% 까지 인상되는데요. 따라서 공정시장가액이 매년 오를수록 세금의 부담감 또한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3주택자는 300% 조정지역 2주택자 200% 까지 증가하게 되어 다주택 보유하고 계신분들께서는 처분을 계획하신다면 서둘러 움직이셔야겠습니다.
이렇게 종부세 대상 계산정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혹시나 문의사항이 있으시거나 매도의뢰는 개포황금으로 연락주시면 친절하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